왜 주식투자를 해야할까? (Feat. 도박? 안정적인 수익?)

     

         비트코인 광풍 때 그랬던 것처럼 직장인 분들이라면 요새 주변에서 주식 얘기를 많이 듣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옆 부서의 누구는 얼마를 벌었다더라, 어느 주식이 엄청 올랐다더라, 이 주식에 호재가 있다더라. 이런 말을 꽤 많이 듣고 계실 겁니다. 회사 점심시간에 동료들과 얘기를 나누다 보면 이틀에 한 번은 주식 얘기가 꼭 오르내리고는 합니다. 사실 이런 주식에 대한 관심은 직장인 뿐만 아니라 이제는 주부분들, 대학생분들에게까지 퍼지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주변의 분위기가 이렇지만 반대로 주식에 대해서 여전히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높아져만 가는 주가를 보며 마지막 남은 부의 축적 수단이 주식이라는 믿음으로 주식에 뛰어드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과거 주식 때문에 패가망신한 사람들을 반면교사로 삼고 주식은 투기, 도박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현재 주식은 유래 없을 정도로 호황입니다. 실물 경제가 나아지지 않고 여전히 코로나의 위협과 함께하면서도 우리나라의 증시, 코스피는 사상 최고의 숫자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금의 호황은 잠깐일 뿐이고 곧 폭락할 것이다", "주식은 도박과 같기에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생각하는 분들에게 꼭 그렇지만은 않고 지혜롭게 하면 좋은 재테크 수단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알려드리기 위한 마음에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인기는 정말 없을 게시글로 예상합니다)

    코스피차트 히스토리, 긴 박스피 구간을 벗어나고 새로운 영역으로 진입했다고 볼만하다.

     

         저는 건강한 주식 투자는 훌륭한 재테크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투자를 안전과 위험이라 이분법적으로 딱 구분할 순 없다고 생각합니다. 덜 위험한가, 더 위험한가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예금은 덜 위험하고, 주식은 평균적으로 더 위험합니다. 하지만 주식에서도 욕심을 덜 부르고 안정적인 투자를 하면 어떨까요? 그리고 그게 그렇게 어렵지 않은 방법이라면요?

     

    은행 예금/적금 이자율에 만족하시나요? 부동산에 투자할 거금이 있으신가요?

         모두가 똑같은 방식으로 살 필요는 없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행복하게 살기 위해 필요한 것들 중 "내집마련"을 꼽습니다. 세입자로서 평생을 살 수는 없고, 언젠가는 자신의 집을 마련 해야한다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이죠. 그런데 내집마련하는 것이 요즘에는 요원해 보입니다. 아파트는 한 달이 멀다 신고가를 찍었다고 합니다. 근로소득을 저축해서 집을 사는 것은 요원해 보입니다. 임금 상승의 속도보다 아파트 가격 상승이 더 가파르기 때문이죠.

     

         코로나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나라가 돈을 많이 풀면서 "유동성"이 풍부해졌다고 합니다. 유동성이 풍부해졌기 때문에 부동산 자산의 가격이 급격하게 올랐다고 합니다. 하지만 과거 자료를 찾아보면 대부분의 시기동안 부동산 자산의 상승율이 임금상승율 보다 높았습니다. 

     

         위의 그래프를 보면 2015년도 그리고 그 이후에도 임금 상승보다 부동산 자산의 상승율이 더 높았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아래 자료를 보면 연소득으로 아파트를 매매하는데 걸리는 기간을 숫자로 산출한 PIR지수가 있는데 이것이 점점 가파르게 우상향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의 매매가가 임금의 상승보다 더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서 서울아파트를 연봉으로 사는데 걸리는 기간이 점점 늘어나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근로소득을 가지고 있는 것보다는 서울 아파트 부동산 자산을 가지고 있는 게 가장 효과적인 재테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우량 부동산 자산(서울, 수도권)을 포트폴리오에 담을 돈이 사회 초년생, 중년생들에게는 없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재테크의 처음 시작을 부동산으로 하는 것은 사실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부동산 재테크를 하기 위해서는 그 전 단계가 필요한 법이죠. 이를 시드머니(seed moeny)를 모은다고 하고 대부분의 경우 적금을 통해 모으고 있습니다. 

     

         그러나 적금만 하는 것은 재테크라 할 수 없습니다. 그러기에는 적금 이자율이 굉장히 낮기 때문입니다. 임금 상승율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적금 이자로는 부동산 자산을 영원히 쫓아가지 못할 정도의 속도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저축은행 적금상품 중 가장 높은 이자를 지급하는 이자는 2.9%입니다. 그것도 한 달에 100만원 이상은 저축하지 못합니다. 2.9%보다 더 많은 이자를 주겠다는 은행도 있지만 그런 은행들은 월 저축액 한도가 10만원, 30만원에 불과합니다. 

     

         2015년부터 부동산 자산 상승율이 가장 낮았을 때가 3.3%가량이었고, 2017년에는 13%에 달합니다. 그런데 적금이자가 3%에 불과하다면 적금만으로 내집마련을 하는 것은 녹록치 않은 일임이 분명합니다. 우리가 사는 데 중요한 "내집마련"을 위해서는 중간단계의 재테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임금상승율, 은행의 예금/적금 이자율을 보았을 때 장바구니에 담아둔 내집의 가격이 더 가파른 가격으로 오르기 때문에 저는 주식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주식의 평균상승율은 얼마나 될까요? 한국주식은 근래 엄청나게 가파르게 오르고 있으나 2011년부터 2018년까지의 연평균상승율은 1.4%에 불과합니다. 코스피는 연마다 불과 1.4%씩만 상승해 왔다는 뜻입니다. 모든 주식이 좋은 수익율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방금 말씀 드린 코스피 수익율은 주식을 나쁜 재테크라 보는 분들에게는 그리 놀랍지 않은 자료 일 것입니다. '거 봐라, 버는 사람은 소수일 뿐이고 잃지 않으면 다행이다'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S&P지수를 따르는 SPY ETF의 5년간 연평균 상승율은 7%를 넘습니다. 나스닥 지표의 연평균상승율은 8%에 달합니다. 특정 종목을 사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S&P지표나, 나스닥 지표 시장 그 자체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했을 때 1년 평균 7%~8%의 수익율을 올릴 수 있습니다. 

     

         저는 위의 숫자를 보고 한국 주식보다는 미국 주식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대체적으로 좋은 시장에서 평균이상의 종목을 사거나, 대체적으로 좋은 시장 그 자체를 매수하려 합니다. 한국 주식이 현재는 매우 매력적인 자산이지만, 저는 세계 1위인 미국의 주식을 더 매력적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는 코스피 탑 10 기업의 산업과 S&P, 나스닥 탑 10 기업의 산업을 비교해 봤을 때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미래는 미국 최첨단 선두기업이 이전처럼 아니 이전보다 더 큰 영향을 끼치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주식은 위험자산입니다 = 변동성이 큰 자산입니다

         평균 수익율이라는 건 함정이 되기도 합니다. 어느 우등반의 수학 평균점수가 80점이라고 해도 그 중에 대개 한 학생은 평균점수에 한참 미달한 40점을 받았을 수도 있습니다. 주식 우상향의 대표 모범생인 SPY ETF(S&P 추종)와 QQQ ETF(나스닥 추종)도 그렇습니다. 연 평균 수익율이 7~8%라고 하여도 어떤 달은 오히려 마이너스 수익율이 날수도 있습니다. 달에서 주로, 주에서 일로, 일에서 시간 단위로 쪼개보면 항상 오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큰 폭으로 올랐다가, 큰 폭으로 다시 내려가기도 합니다. 

     

         SPY ETF의 과거 약 3년 일별 수익율을 보면 530일 중 60일은 -1% 이상의 손해가 발생했습니다. 심지어 2020년 3월 16일은 -11%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아래 2개의 그래프를 보면 더 이해하기 쉬우실 겁니다. 2018년 12월 26일의 SPY 주가는 234달러였으나 현재 SPY의 주가는 369달러로 약 58% 수익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아래 그래프를 보면 수익율 0%를 기준으로 매일 매일 엄청나게 왔다 갔다 하는 수익율을 볼 수 있습니다. 몇 번이나 마주치는 마이너스 수익율에서 꿋꿋이 우상향을 믿고 견딜 수 있는 투자자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이 변동성 속에서 발목에서 사서 어깨에서 파는 것이 아니라 어깨에서 사고 발목에서 파는 현상이 반복되는 것이죠.

     

         제가 생각했을 때 저와 같은 초보자에게 주식이 어려운 이유는 장기적으로 우상향 주식을 선택하는 안목매일의 변동성을 견디는 끈기의 부족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주식은 내 소유의 여유자금으로 끈기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최근 3년간 SPY 주가 히스토리
    최근 3년간 SPY 일별 수익율 변동성 (수익율 0% 기준)

     

     

     

    우량 시장 전체에 투자하는 인덱스 ETF는 우상향 합니다.

         큰 돈을 벌기 위해서는 매우 특별한 선택과 행동이 필요하다고 믿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식에서도 일명 대장주라 불리는 주식은 이미 너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쏟아져 너무 비싸다 생각합니다. 이미 오를대로 올랐다고 생각하며 비교적 주목이 적은 소형 주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혹은 어떤 기업의 좋은 뉴스를 듣고 그것에 기대하고 매수를 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의 바이오주가 그렇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잘 모르는 특별한 것이란 믿음으로 그 주식을 매수 합니다.

     

         이것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좋은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선택이 무엇을 뜻하는지 그 선택으로 인해 무엇을 감내해야 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스크가 높고, 변동성이 매우 큰 주식을 선택한 것인데 변동성을 참지 못하고, 마이너스 수익율 (-5%에서 -10%부터 심리적인 압박감이 심해지는 거 같습니다)을 참지 못하고 손절을 합니다. 그리고 최대한 빠른 시간안에 수익을 내려고 했기 때문에 시간 단위, 분 단위로 계속해서 차트를 확인합니다. 

     

         저는 제 일상생활에서 주식차트를 매일 몇번씩이나 확인하고, 계속해서 기업 관련 뉴스를 찾아볼 자신이 없습니다. 제가 투자할 기업을 시간을 들여 한번 쭉 공부하고, 분석한 이후에 장기적으로 지금보다 정말 높은 확률로 가치가 올라갈 기업이라 생각하면 투자합니다. 이를테면 지금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앨버말, 엔비디아, 항공주ETF 등이 그렇습니다. 

     

         그런데 이런 것도 사실은 난이도가 높습니다. 기업에 대해 공부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아무래도 얘기치 못한 변수에 시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테면 과거 석유자원 기업에 투자했었는데 갑자기 중동이 석유 공급을 끊는다든가, 유럽에서 정책적으로 석유, 석탄을 이제 쓰지 않다고 선언한다든가 이슈에 기업이 속수무책인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비교적 안정적"이고 "어느 정도 은행 수익율보다 높은 수익율을 보장하는" 가장 좋은 것은 우량한 기업들을 묶은 ETF에 투자하거나 혹은 우량한 시장 그 자체(이를테면 S&P나 나스닥 등)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저는 한국 경제가 계속해서 성장하고 선진국 반열에 든다고 어느 정도 믿지만 확신하지는 못합니다(과거 매우 긴 기간동안 코스피가 "박스피"로 불렸다는 것을 상기하면 더 그렇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나스닥 기업들이 결국 글로벌 마켓의 리더가 될 것이라고 매우 높은 정도로 확신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정보의 비대칭성과 자본이 모이는 것은 더 심화될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연금저축으로 나스닥 ETF를 적금처럼 꾸준히 매수하고 있습니다. 한국 경제가 지금보다 훨씬 더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분이 계시다면 간단하게 코스피를 적립식으로 꾸준히 매수하시면 됩니다.

     

         워렌버핏과 펀드매니저들의 유명한 내기가 있습니다. 워렌버핏은 S&P500 ETF(미국 S&P 500 기업의 주식을 묶어 파는 상품)에 10년동안 투자하고 펀드매니저들이 각자 개별주식을 담으며 투자한 것을 비교해볼 때 누가 더 높은 수익율을 올릴까 내기한 것이죠. 결과는 워렌버핏이 연평균 7.1%, 펀드매니저들은 2.2%에 불과했습니다. 

    "워런 버핏, 10년 투자 내기 압승…상금 전액 기부 [출처: 중앙일보]"

     

         물론 미국이 망할수도 있지 않느냐고 물어보실 분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이 망한다면 제가 어느 기업 주식을 가지고 있든 그 기업 주식도 결국 무사하지 못할 것입니다. 

     

     

    개별주식을 투자하는 이유는 더 큰 리스크를 감수하고 더 큰 리턴을 위해서입니다

        저는 ETF만 하고 있지 않습니다. 개별주식도 많이 투자하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제 경우에는 투자의 "흥미"와 "욕심" 때문입니다.

     

         저는 기업을 분석하는 과정 자체가 재밌습니다. 재무제표를 보고, 그 기업의 비젼을 보고 현재 상황과 미래를 상상하는 과정에서 재미를 느낍니다. 그리고 그것을 주변사람들에게 말해주는 것도 재밌습니다. 기업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돈을 번다는 생각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분야를 배우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앨버말을 배우면서 전기차 배터리의 원료를 알게 되었고, 엔비디아를 공부하면서 왜 CPU가 아니라 GPU가 4차산업시대에 더 유망한가를 알게 되었습니다. 이런 배움들이 재밌습니다.

     

         개별주식에 투자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ETF보다 리스크는 더 감수하되, 더 높은 수익율을 올리기 위함입니다. 우량 산업이나 시장 그 자체로 구성된 ETF는 아주 매우 높은 확률로 우상향을 약속합니다. 그러나 수익율은 결과적으로 우량한 개별주보의 수익보다는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아래 차트는 SPY, QQQ ETF와 개별주식인 애플, 앤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주식의 약 3년 뒤 수익율 입니다. ETF도 물론 50%, 110% 정도로 높지만 우량한 개별주식의 경우는 수익율이 5배 정도 더 높기도 합니다. 

     

         

         세상이 변하는 속도가 빠르다고 합니다. 그와 비슷하게 자산 가격의 증가속도는 우리 부의 축적 속도보다 더 빨라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99%의 안정적인 투자를 택할 것인가, 아니면 70% 안정적인 투자를 택하고 그 댓가로 더 높은 수익율을 얻을 것인가의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를 무조건 도박이라며 우리의 선택지에서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 곰곰히 생각해보고 선택지 중의 하나로서 진지하게 고려해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큰 보람을 느낍니다 👍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